2024년과 2025년 한국 경제는 여러 도전과 기회를 마주하게 됩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의 경제 전망 보고서를 바탕으로 향후 2년간의 한국 경제 전망 성장률, 수출 증가, 소비자 물가, 고용 시장 등 주요 지표를 분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2024년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
2024 한국 경제 성장률
2024년 한국 경제는 수출의 급증에 힘입어 2.6%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2023년의 경기 부진을 회복하는 수준으로, 내수 부진이 완화되고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수출 증가가 주요 원인입니다.

KDI에 따르면 2025년에는 수출 증가세가 조정되면서 경제 성장률이 2.1%로 다소 낮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수출 증가 전망
2024년 수출은 반도체를 중심으로 5.3%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글로벌 반도체 거래액의 반등과 세계 교역량의 완화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이러한 수출 증가세는 한국 경제 회복의 주요 동력이 될 것입니다.

소비자 물가 및 고용 시장 전망
2024년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내수 부진으로 인해 2.6%로 예상되며, 이는 2023년보다 낮은 수준입니다.
2025년에는 물가 안정 목표 수준인 2.1%를 기록할 것으로 보입니다. 물가 상승률이 안정화됨에 따라, 소비자들의 실질 구매력이 개선될 것입니다.

고용 시장
고용 시장에서는 2024년 취업자 수가 24만 명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2023년의 33만 명보다 줄어든 수치입니다.
2025년에는 증가폭이 더 축소되어 17만 명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실업률은 2024년과 2025년에 각각 2.8%와 2.7%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입니다.

재정 정책 방향
재정 정책은 점진적인 경기 회복에 따라 관리재정수지 적자폭을 축소하고 재정 건전성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진행될 것입니다.
경기 부양의 필요성이 줄어들면서, 재정준칙 도입 이전에도 적자폭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정부는 2024년과 2025년 동안 재정 지출을 신중하게 관리할 예정입니다.

표: 재정 수지 및 국가채무 전망
연도 | 재정수지(조원) | 국가채무(조원) |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 |
---|---|---|---|
2023 | -87.0 | 1,126.7 | 50.4 |
2024 | -91.6 | 1,195.8 | 51.0 |
2025 | -72.2 | 1,273.3 | 51.9 |
통화 정책
통화 정책은 물가 상승률이 목표 수준에 근접함에 따라 긴축 기조를 점차 완화하는 방향으로 전환될 것입니다.
고금리 기조가 가계와 개인사업자 대출 연체율을 상승시키고 있어, 점진적인 기조 조정이 필요합니다. 한국은행은 물가 안정 목표를 고려하여 통화정책을 운영할 계획입니다.
금융 정책
금융 정책은 시스템 리스크 우려가 크지 않은 상황에서 경제 주체의 자기 책임 원칙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진행될 것입니다.
연체율 상승 추이에 대응하는 손실 흡수 능력을 점검하며, 금융 시장의 자원 배분 기능을 왜곡하지 않도록 규제를 개선할 것입니다. 이는 금융 시장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을 지원하는 데 중요합니다.

표: 금융시장 주요 지표
연도 | 가계대출 연체율(%) | 개인사업자 대출 연체율(%) | 금융권 BIS 자기자본비율(%) |
---|---|---|---|
2023 | 0.5 | 0.4 | 16.6 |
2024 | 0.6 | 0.5 | 16.8 |
2025 | 0.6 | 0.5 | 17.0 |
2024년과 2025년 한국 경제는 수출 증가와 내수 부진 완화에 힘입어 회복 국면에 접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경제 성장률, 수출, 소비자 물가, 고용 시장 등 주요 지표를 면밀히 관찰하며, 적절한 재정, 통화, 금융 정책을 통해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을 도모해야 할 것입니다.
이러한 정책 방향은 경제 안정성과 성장 가능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출처
- 한국개발연구원(KDI), “2024 상반기 KDI 경제전망“, 2024.
관련글
▲
▼ GDP란 무엇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