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거래를 하다 보면 중개업자가 수수료를 많이 부르는 경우가 있거나 혹은 임차인이 수수료를 깎는 경우가 있는데 부동산 수수료는 주택중개보수 등에 관한 조례에 따라서 수수료를 계산하게 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중개수수료 계산식은 아래 중개 수수료 요율표를 참고하면 ‘거래금액X상한 요율(%)’를 적용하여 쉽게 계산이 가능합니다.
부동산 중개수수료 계산 방법
중개수수료 요율표
중개수수료 요율표를 보고
매매 · 교환 · 전세 · 월세 등의 수기 계산을 목표
계산법 – ‘거래금액 X 상한 요율(%)’
매매 및 교환
- 5천만원 미만 0.6%
- 5천 ~ 2억 미만 0.5%
- 2억 ~ 9억 미만 0.4%
- 9억 ~ 12억 미만 0.5%
- 12억 ~ 15억 미만 0.6%
- 15억 이상 0.7%
임대차 (전세, 월세)
- 5천만원 미만 0.5%
- 5천 ~ 1억 미만 0.4%
- 1억 ~ 6억 미만 0.3%
- 6억 ~ 12억 미만 0.4%
- 12억 ~ 15억 미만 0.5%
- 15억 이상 0.6%
1. 매매 중개수수료 계산법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내가 1억 5천만 원의 주택을 매매한다고 하면 기본 계산 방법인 ‘거래금액X상한 요율(%)’ 을 적용하여 계산하면 됩니다.
‘1억 5천만 원 X 0.5%’ = 75만 원이 중개 수수료가 됩니다.
1억 9천 9백만 원의 집을 구매한다면 ‘1억 9천 9백만 원 X 0.5%’ = 99만 5천 원이 수수료가 되지만 한도액이 최대 80만원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80만 원의 수수료만 지불하면 됩니다.
2. 전세 중개수수료 계산법
전세 중개 수수료도 마찬가지로 기본 계산 방법을 적용하면 됩니다. 만약 9천 9백만 원의 전세집을 계약할 경우는 얼마가 중개 수수료로 나올까요?
‘9천 9백만 원 X 0.4%’ = 39만 6천 원이 수수료로 나오지만 한도액이 최대 30만 원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30만 원의 수수료만 지불하면 됩니다.
3. 월세 중개수수료 계산법
자 그렇다면 월세 수수료의 경우는 어떨까요? 물론 전세 중개수수료와 같은 방법으로 계산하면 됩니다. 복습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4천 9백만 원의 집을 계약한다면 얼마의 중개수수료가 나올까요?
상한 요율은 0.5% 이고 한도액은 최대 20만원으로 설정 되어 있습니다. 한번 계산해 보시기 바랍니다.
